Share this Collection
1 Citation in this Annotation:
Annotated by:
Guktae Lim on Can the Machine be an Actor?
13 January, 2025
Since the rise of modernity, humans have largely disregarded the value of non-human entities such as nature, technology, and other non-human beings. Should this approach be rethought, and should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 and non-human subjects be abolished?
In a seminar course on architectural criticism titled ‘Architecture × Nature’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exts like Eunju Park’s ‘Can the Machine be an Actor?: Drawing upon the Actor—Network Theory by Bruno Latour’ provide a basis for discussion. Although Park takes a sceptical viewpoint, her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our actions as architects—acting as powerful actors in the ecosystem—can have profound effects on the environment. The term Anthropocene provokes consideration of the immense impact humanity has had on the Earth, which leads me to think critically about what attitude we, as architects, should have toward nature and ecosystems when we design and build, and what kind of impact our constructions have on the environment.
The theory that Park is drawing from comes from Latour in We Have Never Been Modern, and Graham Harman in Prince of Networks: Bruno Latour and Metaphysics, who emphasise the agency of non-human actors and explain how the world is organised through the networks that link them. These ideas are intriguing, and to some extent, I agree with them. Actor-network theory (ANT), which seeks to grant equal agency to both humans and non-humans, challenges modern binary ontologies such as subject/object, mind/matter, and society/nature. While ANT opens up new perspectives on nature and ecosystems, it also raises an important question: Who is it that perceives and grasps the actions of these non-human actors ?
Since the modern era, it has been assumed that humans have attempted to control both society and nature by separating them into dichotomous categories, consuming and even destroying nature in the process. But is this assumption accurate? Let’s consider ecosystems. According to Latourian thinking, we must recogn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non-humans—such as the various organisms in an ecosystem—and observe and analyse their interactions. By understanding how these networks of actors are connected, how they are organized, and what impacts they have, we gain insight into their functioning. But this approach raises a question: Isn’t it strange that when we try to identify and understand non-human actors, we fall into a similar dynamic as the modern distin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 qualities we ascribe to non-human actors—such as their ability to affect us, act, react, and change—are, in many ways, human qualities. Does this not suggest a continuation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a persistence of binary thinking?
Latour, especially from the early 2000s onwards, has written extensively about the ecological crisis in books such as The Politics of Nature, Confronting Gaia, and The Emergence of the Green Class, which highlight his ongoing concern with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and the impending catastrophe. However, according to his theory, human interest in ecosystems is itself shaped by the actions of human actors, whose interventions may unintentionally affect ecosystems in ways that cannot be fully predicted. For instance, imagine an endangered species within an ecosystem. If we take measures to prevent its extinction and create conditions to support its survival, we still cannot know how this action will reverberate through the entire ecological network. Does this mean that humans should refrain from intervening in the actions of non-human actors altogether
근대 이후 인간은 인간이 아닌 것들, 자연, 기술과 같은 비인간적 존재자들의 가치를 무시해왔고, 이러한 방식을 이제는 바꿔야 하며, 인간 주체에 대한 구분은 없어져야 하는 것인가?
라투르의 저서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와 그레이엄 하먼의 『네트워크의 군주』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그가 중요시한 것은 비인간(nonhuman) 행위자의 행위성이며, 이들 간의 네트워크로 세상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흥미로운 부분도 있으며, 어느 정도는 동의하는 부분도 있다. 행위자 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에서 그가 말하는 행위자와 행위자들의 행위성의 네트워크는, 그녀의 글에서 주요한 이슈인 기술과 기술 문명을 넘어 자연과 생태계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가 되고 있는 듯하다. 인간과 비인간에게 동일한 행위자의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는 ANT는 기존의 주체/객체, 정신/물질, 사회/자연과 같은 근대적 이분법적 존재론에 대한 문제를 담고 있다. 이러한 ANT는 자연과 생태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넓힐 수 있는 한편, 과연 이러한 비인간(그녀의 글에서는 기계 문명, 세미나에서는 자연과 생태계)의 행위를 파악하는 것은 누구인가?라는 물음을 가지게 된다.
근대 이후 인류는 사회와 자연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통제하려 했고, 자연을 소비하며 파괴해왔다고 생각해왔다. 과연 그럴까? 여기서 나의 의문점은 이렇다. 생태계를 들여다보자. 라투르적 사고에 의하면 우리는 인간이 아닌 비인간, 즉 다양한 생태계의 생물들의 관계를 중시하며, 그들의 관계들 간의 행위들을 관찰하고 분석하며, 어떻게 그러한 행위자 네트워크가 연결되고,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상하지 않은가? 이 방식은 우리가 비인간 행위자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순간, 이러한 관계가 근대의 주체와 객체의 구분과 다르지 않게 되어버리는 것은 아닌가? 또한, 비인간 행위자에게 부여한 특성—즉,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고 행동하고 반응하며 변한다는 모습—은 인간다운 특성이지 않은가? 그렇다면 여전히 주체와 객체 간의 위계가 계속되는 것이 아닌가? 여전히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이 아닌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라투르는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생태학적 위기를 진단하고, 생태계에 대해 많은 텍스트들을 남겼다. 그의 저서 『자연의 정치』, 『가이아와 마주하고』, 『녹색 계급의 출현』 등 2000년대 이후 그의 저서 제목만 봐도 그는 지구적 차원의 생태위기와 도래하는 파국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형성시켜왔다. 하지만 그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이 생태계에 관심을 가지는 것 또한 행위자들의 행위로서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모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생태계에 멸종 위기 동물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그 동물을 멸종을 막기 위해 보호하고 유지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되면, 이는 전체 생태계 네트워크 안에서 어떤 행위로서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다. 그렇다면 인간은 비인간적 행위자들에게 어떠한 행위도 취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인가?
한예종에서 개설된 김선주 선생님의 건축 비평론 세미나, 『건축×자연』에서 박은주(2020), *기계도 행위할 수 있는가?*에 대한 텍스트를 읽고, 위와 같은 이야기들을 나눈 적이 있다. 회의론적 시각으로 보일 수 있지만, 건축을 하는 사람으로서 우리가 하는 행위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많이 줄 수 있는 행위자로서 여러 부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기였다. 인류세라는 말에서 인류가 지구에 미친 영향이 얼마나 큰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인류의 삶에서 가장 근간이 되는 건축이라는 행위를 하는 자들은 우리가 구축할 때 어떤 태도로 자연과 생태계를 바라봐야 하는가. 우리가 구축하는 것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The exhibition Voice by Philippe Parreno shows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From a short-sighted perspective, it seems as if humans are dominated by machines, but it also seems as if humans can use technology to express themselves on a higher level.